본 문서에서 다룬 주제:
- 단일 컴포지트 베드 출력
- 다중 베드 출력
- 에코 복귀 및 기타 플러그인의 베드 트랙
- 스테레오 오브젝트 트랙
- 오브젝트/버스 전환 자동화
소개
Renderer의 입력 중 처음 10개는 베드 오디오 입력 전용입니다. 베드는 DAW의 I/O 설정과 Renderer Input Configuration 창에서 구성합니다. Renderer의 기본값은 단일 7.1.2 베드이지만 너비가 더 작은 베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오브젝트만 사용하거나(처음 10개 채널은 계속 베드 오디오용으로 예약됨) DAW와 Renderer가 여러 개의 베드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기존의 스템 기반 워크플로를 지원할 수도 있습니다.
단일 컴포지트 베드를 사용하고 118개의 Renderer 입력을 오브젝트 오디오에 사용 가능하도록 남겨둘지, 아니면 베드를 여러 개 사용하면서 오브젝트 오디오에 사용할 Renderer 입력 수를 줄일지 여부는 믹싱 작업자의 선호도, 컨텐츠 및 워크플로 고려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베드를 여러 개 사용하는 워크플로는 주로 후처리 워크플로에 사용됩니다.
프로젝트 및 워크플로에 따라 오브젝트에 더 많은 입력을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채널 기반 스템 리렌더링을 유도하기 위해 마스터링 패스(DAW에서 선택적으로 트랙 음소거)를 여러 번 수행해야 하는 비효율성에 의해 상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단일 베드의 단순성과 118개의 오브젝트 가용성이 유효한 프로젝트 및 워크플로도 있습니다.
단일 컴포지트 베드 출력
단일 컴포지트 7.1.2 베드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기본 Renderer 입력 구성 및 제공된 템플릿에 따라), DAW 내에서 스템 작업의 유연성이 제한되지 않습니다. 오디오가 Renderer의 처음 10개 입력으로 라우팅되는 통합 7.1.2 출력으로 DAW에서 나가도록 하는 한 DAW 세션이 내부적으로 배치 및 라우팅되는 방법에 어떠한 제한도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각 스템을 제공하는 모든 너비의 오디오 트랙을 포함한 7.1.2 보조 입력 트랙에 각 스템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버스 처리가 필요할 경우 출력 전에 하나의 7.1.2 보조 입력으로 합산되거나 합산을 위해 기본 7.1.2 출력으로 버싱될 수 있습니다.
에코 복귀 및 기타 플러그인의 베드 트랙
DAW에서 7.0.2 및 7.1.2 트랙 너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에코 및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돌비 애트모스에서 작업할 때, 기존 서라운드 포맷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송신-복귀 라우팅을 사용하여 멀티채널 베드 트랙과 오브젝트 트랙 사이에서 멀티채널 에코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에코는 컴포지트 베드 출력, 스템 출력 또는 자체 베드 출력에 버싱된 자체 7.1.2 보조 입력으로 귀환될 수 있습니다.
일반화된 패닝 위치 지정으로 오브젝트 트랙의 에코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경우, 보통 적절한 베드로 7.1.2 복귀가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이러한 구성에는 베드 트랙과 오브젝트 트랙이 기존의 송신 및 복귀 구성을 사용하여 동일한 에코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브젝트의 에코가 건식 소스 오브젝트의 존재 없이 베드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에코가 렌더링되어 존재하는 완전한 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Renderer에서 7.1.2 렌더링이 필요합니다.
오브젝트 트랙에 에코를 적용하고 7.1.2 베드로 에코를 복귀시키려면:
- 7.1.2 보조 입력 트랙을 생성하고 원하는 에코 플러그인을 트랙에 삽입합니다.
- I/O Setup에서 에코 송신 경로로 사용할 7.1.2 버스를 새로 생성하여 보조 입력 트랙에 입력으로 할당합니다. 보조 입력 트랙의 출력을 다시 라우팅하여 적절한 베드 트랙(예: 기본 7.1.2 베드 또는 7.1.2 스템/그룹 베드)을 사용하여 합산합니다.
- 오브젝트 트랙에서 7.1.2 보조 입력 트랙을 생성합니다. 그러면 습식/건식 레벨 컨트롤로 송신 페이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송신 panner에서 Follow Main Pan(또는 FMP)을 사용함으로써 오브젝트 패닝 메타데이터가 송신 패닝 위치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브젝트에 스테레오 트랙 사용
돌비 애트모스 믹스를 생성할 때 스테레오 오브젝트에 스테레오 소스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구성하기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Renderer가 모든 오브젝트 입력을 모노로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Pro Tools I/O Setup은 모노 오브젝트 경로에 버스 맵핑만을 지원합니다. Subpaths는 두 개의 모노 오브젝트를 하나의 스테레오 오브젝트 출력 경로에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테레오 오브젝트 템플릿을 사용하면 출력이 스테레오이기 때문에 이미 구성된 상태입니다. 모노 출력을 사용하는 설정에서 수동으로 구성하려면 다음 작업을 수행하십시오.
- 스테레오 출력으로 대체될 모노 출력을 삭제합니다.
- Create Default를 클릭하여 I/O Output 페이지에 새로운 스테레오 출력 경로를 생성합니다.
- 스테레오 또는 모노용으로 변환하려는 오브젝트 번호를 포함하는 경로 이름을 지정합니다.
- 출력 할당을 확인하거나 적절한 출력으로 이동합니다.
Bus 페이지에서 펼치면 오브젝트에 맵핑될 수 있는 하위 경로들을 새 경로가 보여줍니다.
Edit 창의 Object 열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트랙의 스테레오 오브젝트 할당을 사용하고,
모노 오디오 트랙의 모노 오브젝트 할당으로서 하위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버스 전환 자동화
오브젝트 트랙에서 Object/Bus Toggle 설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 트랙에 대한 Object/Bus Toggle 자동화를 용이하게 하려면 Automation 창에서 이 파라미터를 활성화해야 합니다(Window > Automation). Automation 창에서 이 파라미터를 비활성화하면 Object/Bus Toggle 자동화가 기록되는 것이나 Object/Bus Toggle 자동화가 겹쳐쓰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Automation 창에서 활성화된 Object/Bus Toggle 버튼(빨간색)